카테고리 없음

2023년 일상 돌봄 서비스 이용 대상, 주요 내용, 신청방법, 증빙서류

아키스타리 2024. 3. 27.

2023년 일상 돌봄 서비스 이용 대상, 주요 내용, 신청방법, 증빙서류

최근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맞벌이 부부들이 늘어나면서 아이들을 돌봐줄 사람이 없어 곤란함을 겪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이런 부모님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아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서비스 역시 아무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아이 돌봄 서비스란 무엇인지, 어떤 자격요건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의 경우 아동의 부모나, 현재 양육하고 있는 양육권자가 신청가능하며, 아이돌봄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해야하며, 국민행복카드도 발급받아야 합니다.

또 회원가입자와 국민행복카드사용자는 반드시 동일인이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으로 신청하실경우 전국 어디서나 거주지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가능합니다. 만약 시간이 없으셔서 온라인 신청을 하셔야 하는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하여 방문하셔서 간편 회원가입을 하신 후 검색하셔서 용이하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서비스 36시간 특화서비스 1개 이용 돌봄이 필요할 경우에 A형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기본서비스 12시간 특화서비스 2개 이용 가사서비스가 필요할 경우에 B형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기본서비스 72시간 혼자 일상생활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C형 서비스를 권장합니다. 특화서비스 2개 이용 다른 공적 돌봄서비스를 받고있는 경우 D형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일상 돌봄 서비스 이용

1, 재가 돌봄가사, 동행 지원 서비스

가장 기본이 되는 서비스로는 재가 돌봄, 가사서비스로, 서비스 제공인력이 이용자의 가정을 방문해 일상생활과 신체활동 지원, 청소끼니 준비 등 가사서비스, 은행 업무나 장보기 등 일상적 외출 시 함께 이동하고 업무를 보조해 주는 등의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용자는 월 시간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있습니다.

2, 지역 상황 및 돌봄 필요 중장년 맞춤형 서비스

맞춤형 특화 서비스란 대상자에 따라 중장년 특화 서비스와 가족돌봄청년 특화 서비스로 나누닌다.

이때 지역 상황과 수요에 맞게 지자체가 대상자별로 기획해 제공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건강관리가 어려운 중장년을 위해 맞춤형 식사를 제공하고, 병원 동행이나 건강생활을 지원할 있습니다. 고독사 위험이 높은 중장년이라면 심리지원이나 사회적 교류를 늘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돌봄서비스 자격

첫 번째로는 아이돌봄 지원 서비스는 첫번째 아동이 정부지원 대상 나이게 들어와야 합니다. 정부지원 대상 기준의 아동 나이로는 생후 3개월 이상 만 12세 이하까지 해당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로는 양육 공백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양육공백이란 현재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가족 부모가 장애인이 경우 다자녀일 경우 혹은 다문화가정이나 아동학대로 인한 피해를 입고 있는 위기 가정과 그 외 양육부담가정등이 있습니다.

 



일상돌봄 서비스 신청방법

일상돌봄 서비스는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의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해볼 수 있습니다. 서비스는 2023년 하반기부터 지원이 될 예정이며 선정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파악하여 시군구 혹은 읍면동에서 바우처를 발급하여 줍니다. 서비스 선정자는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방문신청 거주하는 지역의 읍, 면, 동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행정복지센터 안내 일상돌봄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파일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및 증빙서류

중장년과 가족 돌봄 청년신청자는 공통된 진단서소견서 혹은 공공민간기관 추천서중 1개만 제출하시면 됩니다. 중장년의 경우 주민등록상 1인가구이거나 경제활동, 학업, 장기부재등으로 가구원이 돌봄을 제공하기 어려운 사유 증빙자료 중 1개를 제출하면 됩니다. 가족 돌봄 청년의 경우 돌봄 대상가족과 주민등록상 동거가족인지 경제활동을 확인하는 재직증명서 중 1개를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방법은 8월 14일부터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하시면 됩니다.

댓글

💲 추천 글